Tomcat webapps 경로밑에 project_A.war, project_B.war 두개를 풀어서 사용중인데,

B 프로젝트에서 A프로젝트의 properties 파일을 읽어서 사용해야 할 경우가 생겼다.

Request 를 쓰기엔 기존에 해놓은 작업이 많아서 각 메서드 마다 변수로 Request 를 주고..

하기엔 너무 번거로워서... B 에서 Catalina Home 경로 읽어서 바로 타고 올라가게 작업

 

System.getProperty("catalina.home");

로 Catalia Home 경로 읽어서 바로 올라가게 작업 함. 로컬에서는 됐는데.. 서버에 올리면 어찌 될지는 모르겟음'- '

프로젝트 들어왔는데..

경찰청인지라, 외부와 네트워크가 안됨. 시간설정 동기화를 할수 없어서... 수동으로 한다.


1. 시간설정

date -s "2014-10-03 14:51:12"

2. 하드웨어 시간 동기화설정

hwclock --localtime --systohc

(이걸해줘야 리눅스 재부팅 후에도 시간이 그대로 인듯 싶다'- ', 첨에 자꾸 재부팅하면 초기화 되서 짜증)

'공부 > UNIX &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_[ 사용중인 PORT 프로세스 확인 및 죽이기 ]  (0) 2014.12.26
LINUX_[ Too may open files ]  (0) 2014.11.10
LINUX_[ Vi(m) 단축키 ]  (0) 2013.03.15
UNIX_[find 명령어 사용법]  (0) 2012.09.19

처음보는 transient .. 

변수에 선언되어 있어서.. 찾아보았다.

transient 를 알려면.. 우선 Serializable(객체 직렬화)를 알아야한다.

JAVA 탭에 객체직렬화는 설명이 있으니, 나중에 다시 한번 읽어보는걸로 '- '


쉽게 말하면 transient 는 직렬화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선언자이다.

ex)

public class TransientTest implements Serializable {

private static final log serialVersionUID = 4220461820168818967L;

String name;

Transient int age;    // age 변수는 직렬화 제외시킨다.

}


 - 객체직렬화에서 제외시킬때 쓰는 선언자인건 이제 알았는데'- ' 

    정확히 언제 객체직렬화를 쓰는지를 모르겟다. 직렬화를 다시 봐야겠다.

    쓸일이 별로 없으니 자주 까져먹어;;


+ Recent posts